지금 미강유를 비롯해서 코코넛 오일, 로즈힙 오일, 타마누 오일, 비타민E오일, 보르피린 오일 등 다양한 오일을 피부관리를 위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피부가 좋아진것 같고 좋아지고 있는데 동시 다발적으로 사용을 해서 어떤 오일이 어떤 부분에서 좋다고 명확하게 말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그런데 미강유 오일은 확실히 100% 효과를 본 부분이 있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블랙헤드입니다. 블랙헤드를 제거하기 위해 팩도 사용해보고 뽑아(?) 보기도 했지만 제자리 걸음이라 블랙헤드는 적당히 포기하고 있었습니다. 저는 저녁 세안후 림프 마사지를 하는데 오일을 이용합니다. 처음에는 코코넛 오일을 이용해서 맛사지를 해봤습니다. 그런데 마사지를 하기에 뻑뻑한 느낌이 들었고 하고 나서도 뭔가 꺼림찍해서 코..
자동차 회사 설비보전과 공무에 대해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자동차 회사 설비보전 직무 "생산설비를 정비하는 일"은 바로 '설비보전'입니다. '설비보전'은 공장내의 주생산설비와 보조생산설비를 유지, 보수, 관리하는 일을 합니다. 자격증을 준비하신다면, 설비보전기사 자격증과 공유압기능사 자격증 등을 준비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겁니다. (현장에서는 유공압이란 말을 많이 쓰는데 자격증 이름은 공유압기능사입니다.) 현대자동차 홈페이지에는 '보전기술'이란 직무로 "보전이란 설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 보수하여 양산품질 및 가동률을 확보하는 제조 경쟁력의 기반이 되는 활동입니다. 기계, 전기/전자, IT 전공자의 기초기술부터 전문기술까지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설비 보전 전문가를 육성하고 있으며, 첨단 설비의 유지관리 ..
자동차 부품 회사 원가관리 업무에 대해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원가관리는 크게 부품을 사 오는 경우의 구매원가관리와 자체 생산부품에 대한 생산원가관리로 나뉩니다. 생산원가관리는 그냥 원가관리라고도 부릅니다. 여기에 입찰 업무와 구매 초도제품 관리를 한다면 앞에 '영업'을 붙여 영업 구매원가라고 합니다. 이 '영업'은 '물량 수주를 위한 영업 부서의 영업 활동'과는 전혀 무관합니다. 또한, 중요 업무는 원가 업무이므로 크게 비중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원가관리는 숫자, 돈을 먼저 떠올리는데, 회계나 재무, 심지어 원가회계하고도 완전히 다른 개념입니다. 회계나 재무는 커머셜, 즉 상경계 출신의 직원들이 담당하는 업무이고, 원가관리는 엔지니어 업무입니다. 도면을 볼 줄 알고 재료 특성이나 제작 공법도 정확..
자동차 회사의 구매와 조달 업무에 대한 설명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구매'의 사전적 의미는 '뭔가를 사오는 것' 입니다. 이것만으로는 직무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아래는 현대자동차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직무 소개 중 구매 업무에 대한 정의를 그대로 옮긴 것입니다. 현대자동차 구매 직무 자동차 원재료 및 부품을 구매, 공급하기 위한 전략적 활동이며, 최적의 품질, 비용, 납기를 통해 회사의 이익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이 문장을 읽어봐도 구매 직무가 뭘 하는 건지 잘 이해가 안 되실 것입니다. 구매 업무를 오래 한 경력자들은 구매 업무에 대해 잘 정리했다고 생각하겠지만, 취업 준비생이나 신입 사원들에게는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직무 설명입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현대자..
자동차 부품회사의 회사의 생산기술 직무에 대해 설명을 드립니다. 산업 초기, 생산 기술력이 부족할 당시에는 어느 회사이든지, 어느 아이템이든지 ‘만들기’에 급급했습니다. 그 후 만드는 기술이 확보 되고 고객이 점차 좋은 제품을 원하면서 회사들은 제품의 질, 즉 ‘품질’을 추구하게 됩니다. 이 품질까지 어느 정도 확보 되어 생산, 판매가 안정화되면 회사는 회사의 수익성을 더 높이려 노력합니다. 즉, 같은 생산 조건에서 어떻게 하면 더 짧은 시간에, 더 많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까 고민하게되고, 이 고민의 해결은 회사에 더 많은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 이런 고민을 해결하는 직무가 바로 생산기술입니다. 생산기술은 공장 내의 생산 설비와 생산공법을 연구하고 개선시킴으로써 생산성을 올리는 업무를 합..
자동차 업계를 준비하는 취준생들이 가장 혼동하기 쉬운 직무가 바로 '생산관리팀' 직무와 '생산팀' 직무입니다. 생산관리 직무와 생산 직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두 직무에 대해서 확실히 이해하시고 지원 직무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내용을 잘 확인해주세요. 채용 공고를 보면 '생산관리'라는 말이 자주 나오는데, 엄밀히 따지면 '생산관리'와 '생산 관리'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채용 회사에서 띄어쓰기를 무시하고 혼용하기 때문에 취준생들이 혼동을 겪습니다.) '생산관리'는 생산관리팀에서 수행하는 생산관리(계획) 업무이고, '생산 관리'는 생산팀에서 수행하는 생산현장을 관리하는 업무입니다. 이 중, 생산팀의 '생산 관리' 업무는 생산량을 맞추기 위해, 생산 현장에서..
자동차 회사 품질 업무에 대해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자동차 업계는 아래와 같은 흐름으로 품질 업무를 배우고 수행합니다. 자동차 부품회사 품질 처음단계 먼저, 신입사원이 입사하면 '수입검사' 업무부터 맡습니다. 그리고 이 업무가 익숙해지면 '출하검사' 쪽으로 업무가 변경됩니다. (회사 규모에 따라 이 2가지 업무를 동시에 시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 실제 현장에서의 검사 업무는 현장직(생산직) 근로자들이 많이 수행하지만, 규모가 큰 회사의 경우 많은 현장직 근로자가 투입되고, 검사 업무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4년제를 졸업한 관리자가 투입되어 검사 결과에 대한 책임과 현장 작업 관리를 하게 됩니다.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하여 수입검사부터 업무를 시작하는 것은 매우 당연한 일입니다. (회사 규모가 아주..